에아렌이 투아림에 대해 연구한 일지
투아림을 물리적인 에너지로 변환하는 방법에 대해 고민한 내용이 적혀있다.
(조각난 페이지를 어떻게든 이어 붙여보자 간신히 책의 형태를 갖추게 할 수 있었다.
내용을 알아볼 수 있는 부분은 크게 네 군데의 챕터인 것 같다.)
(에아렌의 글씨가 단정한 필기체로 빼곡하게 적혀 있다.
군데군데 찢어져 있는 상태지만, 대략적인 내용을 확인할 수 있을 것 같다.
어떤 챕터를 살펴볼까?)
챕터 1 : 신뢰의 시작
정신없이 전장에서 싸우다 보면 어느새 두려움과 파괴욕에 휩싸여
오로지 상대방을 쓰러트리는 것에만 집착하게 되어 버리는 경우가 발생한다.
그 결과는 내면의 어둠, 이스시에게 집어 삼켜지게 되는 것뿐.
때문에 전투에 임할 때는 나 자신의 신념과 함께 싸우는 동료에 대한 흔들림 없는 굳은 믿음이 중요하다.
(사진2)
그렇다면, 누군가의 믿음을 얻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할까?
나와 상대방이 서로 안심하면서 정장에서 등을 맡길 수 있는 사이가 되기 위해서는
어디부터 차근차근 신뢰를 쌓아가야 할까?
먼저 서로에 대해 알아가는 것부터 시작해야 하겠지.
어떤 성향을 가졌는지, 어떤 가치관에 따라 행동하는지.
서로가 무엇을 좋아하고 싫어하는지에 대해서도 이해하고 존중해야 할 것이다.
물론 상대방이 쉽사리 마음을 열지 않는 경우도 있겠지만.... 휴우.
(아쉽게도 뒷부분은 훼손이 심해 글씨를 알아보기가 쉽지 않다.
드문드문 보이는 단어들을 토대로 유추해 보면
상대방과의 유대감을 쌓는 것이 중요하다는 내용 같다.)
(나의 벨테인 특별조 조원과 충분한 유대감을 쌓다보면
보다 투아림의 힘을 능숙하게 사용하는 데 도움이 될 지도...)
챕터 2 : 동료애
밀레시안이 처음 투아림의 힘을 발현했을 때를 잘 생각해 보면
누군가를 지키겠다는 강한 마음이 굉장히 중요한 요인이 되었던 것으로 추측된다.
(사진3)
함께하는 동료들과 강한 유대감의 고리가 형성되어
알 수 없는 강력한 힘에 연결되는 느낌... 이라고 했었지.
그런 체험을 반복하다 보면, 그 '강력한 힘'을 보다 유연하게 다룰 수 있게 되는 것이 아닐까?
순식간에 폭발적으로 증가하게 되는 도르카의 힘을 응축하여
보다 강력한 공격으로 치환할수 있다면... 굉장한 위력이 나올지도 모른다.
(역시 뒷부분이 상당 부분 훼손되어 더 이상 내용을 읽을 수 없다.)
(세 명 이상의 파티 상태에서 투아림 부스트 효과를 적용받아 보자.
그 강력한 힘을 여러 번 느껴보면, 또 다른 가능성을 찾아낼 수 있을 것만 같다.)
챕터 3 : 역발상
(사진4)
투아림의 힘이 발현한 상태에서는 평소보다 더욱 여유로운 공격이 가능하다.
알 수 없는 강력한 힘으로 인해 도르카의 수급이 원활해지기 때문이다.
(사진5)
평소에 체인 블레이드를 휘둘러야 수급할 수 있는 것과는 다르게
그냥 가만히 서 있기만 해도 도르카가 충만하게 차오른다.
투아림 발현으로 인해 차오르는 도르카와, 공격으로 흡수하는 도르카를
동시에 사용할 수 있다면 더욱 강력한 공격을 가할 수 있지 않을까?
또는, 포워르가 발산하는 도르카를 이용하여
그 흐름을 역으로 분출시켜 버릴 수도 있을 것 같다.
평소라면 조금 힘들겠지만, 투아림의 가호를 받는 상태라면 괜찮겠지.
(아랫부분은 알 수 없는 수식과 도형들이 가득 그려져 있다.)
(투아림 부스트가 발현한 상태에서 적군들을 여럿 물리쳐 보자.
그러면 보다 도르카의 흐름을 읽는 데 능숙해질 것 같다.)
챕터 4 : 마치며
자기 자신에 대한 올바른 이해, 그리고 함께하는 동료에 대한 굳은 믿음과 유대감.
보다 세심하게 도르카의 흐름을 읽어내는 노련함.
분명히 투아림의 힘은 훨씬 더 강력한 모습을 갖출 수 있을 거라 확신한다.
(사진6)
언젠가... 힘을 되찾는 날이 온다면, 다시 그들과 함께할 수 있을까?
포기하지 않고 계속 방법을 찾아볼 예정이다.
밀레시안도 나를 걱정하고 있을 테니 이대로 가만있을 수야 없지.
그렇다면 이제 내가 할 일은, 아버지의....
(뒷부분은 너덜너덜 찢겨나가 더 읽는 것이 불가능하다.
에아렌, 그녀는 힘을 되찾기 위해 어디로 가 버린 것일까?)